— 이글은 캐나다에 있을때 쓰던것을 마무리 지은 글 입니다 (원래 날짜 : 2005/12/06) —
제목을 ‘ 어학연수’ 라고 할까.. ‘외국생활’이라고 할까.. 하다가. 이곳에서의 대부분의 외국 생활은 어학연수 이기에 그냥 어학연수라 했다. 유학, 일 도 포함된다고 하겠다.
한국에서 있을때는 전혀 이곳 상활을 짐작 할 수 조차 없다. 한국 말을 얼마나 쓰는지.. 외국인이 어디 사람이 있는지.. 생활을 도.대.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어떤지 말로는 들었지만 실제로 알 수는 없는 것이다. 정말 오기 전까지는.
여기오면 여자애들이 문란해 진다느니.. 커플되기 쉽다느니. 하는것도 그렇고. ‘부모님이 없는돈 써서 보내주신 외국생활이니 최선을 다하자!’하는 마음이 쉽게 생각보다 빨리 눈녹듯이 사글어 드는것도. 여기저기 보기쉬운 풍경이다. 내가 이곳에 오기전, 캐스모에서 세미나를 갔을때 어학연수 전문가(?) 강원희(남자임)씨는 “슬픈 이야기 이지만 여러분들의 2% 만이 원하는 만큼을 얻을 수 있을 것” 이라고 하였다.
그래서 내가 싫어하는 글중에 하나인 ‘어학연수 성공 10계명’ 같은 것도 있고, 여러가지 ‘어학연수가면 어떻게 해야한다’ 는 경험담이 넘쳐난다. 세세한 영어를 늘리는 방법은 사람마다 다 다를수 있다. 다만 정말 중요한 것은 어떻게 자신의 마음을 관리하느냐 또 그럴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나아가는지 라고 생각한다.
어학연수는 어찌보면 인생의 축소판이다. 혼자 낮선땅에가서 무엇을 먹을지, 어디서 잘것인지, 얼마나 공부할 것인지 처음부터 모든 것을 결정한다. 6개월~1년 동안에 한국에서의 삶과는 연결이 되지 않는 새로운 인생을 처음부터 살다오는 것이다. 누구나 친구를 처음부터 새로 사귀어야 하며, 집도 구해야 하고, 자신의 환경을 만들어 나아가며 생활에 적응해야 한다. 적절히 놀면서, 영어실력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은 누구나 아는 사실이다.
가장 중요한 것이, ‘현지인의 삶에 다가가는 것’이라고 하고 싶다. 물론 한국어를 잊고 한국 사람을 잊어야 한다고 생각하겠지만, 쉽지많은 않은 일이다. 현지인의 삶과 가까운 환경을 만들고.. 또 세세한 부분을 채워나아가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열정과 적극성이 필요하다. 그리고 남들의 말에 휘둘리지 않는 판단력도.
나는 ESL을 다녀보지를 못했고.. 지금 다니는 회사는 한국인이 없어서 자연스럽게 캐나다 삶에 가까지 지내지만, ESL 친구들을 많이 만나본 바로는.. 그중에도 열정적으로 어학연수에서 새로운 일을 찾아내려는 사람이 많이 있다. 엉덩이 붙이고 하는 공부 말고.. 날치처럼 넓은 바다위를 통통튀는 신선한 ‘새로운 기회’들 말이다. 대부분의 좋은 기회는 말그대로 널려있지만, 그 것은 영어로 되어있다. 영어로된 웹사이트, 영어로된 신문.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그러한 매체 자체에 접근을 하지 않음으로서 기회의 존재조차 알지 못한다. 어학원이나, 한국어로된 매체에 나온 기회들이 한국인들이 바글거리는 이벤트인데 반해, Straight 같은 주간 무가지 들이나 수많은 웹사이트에서 나온 이벤트들은 정말 더 재미있는 것들이다.
할로윈 파티나 크리스마스 파티등의 수많은 파티(한국친구들 끼리하는거 말고), 프린지 페스티벌, 스탠리파크에서의 야외 음악회, 각종 봉사활동들.. Community Centre 에서의 수많은 이벤트들. 깊게 생각하지 않아도 이런 것들이 생각난다.
영어는 갑자기 늘지 않기에, 현지에서 영어를 사용하는 환경에 부딪히게 되면 절망감에 휩싸이게 된다. 알아듣지 못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봉사활동도 해보고 Communuty Centre 활동 같은 것들을 꾸준히 해보면 어떨까. 당신의 열정과 젊음에 새로운 도전임에 분명하다.
막상 글을 마무리를 지으려 하니 머리속을 떠도는 많은 아이디어들을 정리되지 못한채 두서없이 적혀있다. 나는 나름 성공적으로 캐나다 생활을 지냈다고 생각하는 사람이다. 그 비결을 한마디로 말해 달라면, 끊임없이 기회를 찾고, 그 실행이 비록 두렵고(주로 언어적인 컴플렉스 때문에) 힘들지언정 있는 힘껏 부딪혔기 때문이라고 말하고싶다.
안녕하세요 저는 27살의 대한청년입니다. 저도 어학연수 가보겠다고 외국으로 왔습니다. 보통 호주를 많이 가는데 호주는 어학원이 많아서 남들안가는 싱가포르에 와봤습니다. 다들 영어발음이 안좋다고 해서 고민도 많이했지만 색다름경험일것같아 오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부딧힌 현실은 너무나도 많고 커다랬습니다.
첫째, 일아무거나하면서 현지인과 친해지자
> 일부러 어학원 안통하고 왔습니다. 물론돈도 없었지만요 생활비 벌면서 현지인과 일하다보면 자연스럽게 말이통하겠지 라고 했는데 막상와보니
인도 중국 필리핀 말레이 친구들이 레벨이 낮은 업무는 모두 하고있는 상태였습니다. 그렇다고 조금 안좋은 일이라도 해볼까 했는데 찾기도 힘들고
특히 다른나라처럼 워킹홀리데이 비자가 아직 만들어지지 않아서 아무 일도 못하더라고요 게다가 한국회사는 없어도 조기유학파의 한인들이 엄청 많더라고요 덕분에 생활은 한국생활과 다름없습니다.
둘째, 언어의 장벽
언어가 영어이긴하나 이 친구들이 보통쓰는게 중국어나 말레이 인도어다보니 공통이자 정부에서 쓰는게 영어이나 매우 억양이 다양하고 다렀습니다. 때문에 일반 점포에서 일하는 친구들의 영어는 매우 형편없고 겨우 단어수준으로 서로 말하고 알아듣는 수준으로 꾀 실망감을 가져왔습니다. 이거 남들 가는데로 호주나 갈껄 그랬나 생각이 절신 드는 대목입니다.
셋째, 일하면서 언어배우기
일은 한국인이 할수있는건 전문직이 아닌이상 저같이 막 학생으로 경험이없는 사람들은 한국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전화 상담업무밖에 없었습니다.
때문에 이런 일이 경력도 안되고 한국어를 쓰고 직장대부분이 한국사람이다보니 자연스럽게 한국어 밖에 안합니다 여기서 남들 안하는데 저만영어 쓸수도없고 참 애매한 상황입니다. 게다가 일이 끝나고 향하는곳이 영어학원입니다. 호주같은경우 일끝나면 동료들이랑 술먹으면서 친해지고 아니면 놀러가면서 서로 말을 트는데 이건 책상과 엉덩이 딱붙이면서 마치 한국에서 했던거와 매우 똑같은일을 여기 까지 하는것입니다.
더욱이 호주같은경우 팁문화라던가 달러가치가 쎄다보니 일한만큼 벌수있지만 싱가포르는 한국보다 20퍼센트 봉급이 낮고 경력인정못받고 최하의 포지션에서 일하는데다가 일하는 업무는 한국어로 땅값은 한달에 70만원이 최소 따라서 월급이 120~150인데 방값과 생활비로 다 나가는 것입니다. 돈도 못벌고 경력도 안되고 일도 재미없고 영어도 못배우고
넷째, 영어공부를 책상에 앉아서 해야하나 나가야하나 ?
일이끝나고 잘때까지 매일 책을 보고 휴일시간이되면 도서관에 가서 책을 봅니다. 직장동료가 한국인이고 밖에 나가서 리스닝이나 할까 하면 중국어와 중국어투로 영어를 쓰는친구들대부분 말레이나 중국어 아니면 인도어로 쓰는 상황에서 남들이 다말하는 “밖에서 공부해라’ 가안됩니다.
시간이 되는대로 매일 도서관에가서 책을 보면서 있긴한데 이게 잘하는건지 그것부터가 불안해서 집중이 안되더라고요
싱가포르에 온지 이제 한달 한달동안 거의 한국어만 썻고 한국어로만 했습니다. 그나마 한국에서부터 해왔던 외국인친구가 한명있어서 그친구와 이메일 주고받을때 영어쓰는것 의외에는 한국과 너무똑같습니다.
지금것 쏟아부운 돈은 둘째치고 남들가는데로 호주나 뉴질랜드로 갈까 엄청나게 고민중입니다. 여태까지 준비한것과 돈쓴것 그리고 남들과 다른 사회경험을 쌓아보겠다는 야망을가지고 왔는데 이곳에서 저도 어학연수를 성공적으로 하고싶습니다.
글쓰슨것을 보니 날짜가 2005년이더군요 그때는 어땠는지 정확히 모르겠지만 최근에 보시면 엄청나게 많은 한국인이 세계로 그리고 많은 학원들의 서포트로 어딜가든 한국인 밖에 없다고합니다. 선배님들의 말로는 1년만 영어만쓰면 누구나 다할수있다고하는데 이상태론 1년이 아니라 10년이 되도 거기서 거기일듯 합니다.
정말 영어에 대해 고민이 엄청 많습니다. 학원 안다니고 독학으로 토익800점 맞추고 1년동안 스피킹 학원이아닌 영어 카폐에 다녔습니다. 매일 영어로 일기쓰고 skype라는 메신저를 통해 영어를 가능하면 많이 썻습니다.
하지만 아직도 리딩과 리스닝은 너무 안됩니다.
아직도 외화를 보면 무슨말인지 모르겠고 싱가포르의 동료가 조금만 길게 이야기해도 무슨말인지 알아들을 수가없습니다. 반대로 제가 말하면 못알아듣고요 2~3번 반복해서 느리게 이야기해야지 서로 통하고 너무 답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