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임인 종료로 읽어보는 소셜서비스의 마지막
시즌2까지 준비했지만 결국 정리된 아임인. 내가 다니던 회사에서 하던 SNS라서 더욱 애착이 가는 서비스였다. 이번에 종료 되기전에 사람들이 남긴 글들을 정리해 보았다. 하나의 SNS가 없어진다는 것은 어떤 의미를 가질까? 사람들이 시간을 소비하고, 새로운 인연을 만들고, 유지하던 고리에 작건 크건 영향을 미치게 되겠지. 위치기반의 SNS라는 아임인 서비스의 특성상 오프라인 모임도 종종 이루어졌다는 걸로 아는데, 그런 관계들은…
-
개인정보로 할인받자?
가끔 오는 스팸성 보험/통신사 전화에 모두들 귀찮아 하고있다. 안드로이드에는 전화가 오면 스팸DB에서 확인해서 안받을 수 있도록 해주는 어플도 있던데 아이폰에서는 구현 불가능 하니 참 슬프다. 얼마전 쇼핑을 하다가 “할인 쿠폰 받기” 메뉴가 있어서 눌러보았더니 개인정보를 대가로 돈을(쿠폰을) 주는 할인이었다.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넘긴다는 문구는 잘 보이지 않아서 아마 많은 사람들이 그냥 클릭하고 넘어갈 페이지들이다. 내 개인정보는…
-
개발자만이 아니다
개발자만 개인 프로젝트를 할 수 있는게 아니었다. 동영상 만드는 기술이 있어도 재미있는 개인 프로젝트를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진격의 거인” 패러디들 1. 진격의 시력검사 http://www.youtube.com/watch?v=HVoBKz64TqE 2. 진격의 붕어 3. 진격의 콜라 http://www.youtube.com/watch?v=7UvyITR9MGs
-
회사에 대한 몇가지 생각들
“대기업에 취직하는 것은 기차를 타는 것과 같다. 언뜻 당신이 시속 100킬로미터로 달린다고 착각하지만, 정작100킬로미터로 달리는 것은 기차이고, 당신은 정지해 있을 뿐이다.” -폴 게티 페이스북 댓글에 올린 이 인용구에 “벤처취업은?” 이라고 질문을 달아주신 분이 있어 아래와 같이 답을 달았다. 벤처에 다니는 것은 승용차를 타는거 같은거 아닐까요? 자신이 조금더 차의 속도/방향 도 조절 가능하고 나중에 자신이 직접…
-
“웹 플랫폼 기반의 NEW Mobile OS의 가능성” 참석 후기
PAG에서 3월 20일에 한 “2013년 MWC 소고 + 웹 플랫폼 기반의 NEW Mobile OS의 가능성“에 다녀왔다. PAG모임은 “한 말씀 하시는 분들”의 모임답게 언제나 너무나 재미있는 이야기들이 오가는 곳. MWC 2013에 대한 조만영 님의 발표는 MWC에 대한 리뷰가 여기저기 많기 때문에 포함하지 않았다. 주로 Daum 윤석찬님의 Firefox OS에 관한 내용과 토론을 정리해 보려고 한다. 토론내용도 주로…
-
인생의 변곡점을 관리하기
나의 짧은 인생에서 적다면 적고 많다면 많은 환경의 변화와 시련이 있었다. 사람은 결국 인생의 변경점이 있을 때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따라서 삶이 바뀌게 된다. 생각해보면, 그 환경의 변화와 시련이 얼마나 힘들고 급격한 것이든 상관없이, 2가지로 나뉜다. 내가 원해서 능동적으로 생긴 경우와 외부의 변화에 따라서 생기는 경우. 내가 캐나다에 가서 취업하려고 고생하고 결국 취업해서 적응하는 과정은 커다란…
-
스타트업을 위한 추천 서비스 3가지
사업을 하면서 모든 것을 직접 만들수는 없다. 스타트업은 자신의 아이템에 집중하여 빠른 실행력을 바탕으로 구현과 실행에 집중해야 한다. 중요한 아이템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서비스들, 우리나라에는 별로 많이 안 알려져 있는 훌륭한 서비스들을 소개해볼까 한다. 1. 홈페이지 빌더 : sqarespace 나는 심심할 때 차에서 Tech news today의 podcast를 듣는데, 거기에 광고가 나오는 서비스라서 알게된 서비스다.…
-
무료 도메인 메일, 네이버/Daum/Outlook.com 비교
작년(2012년) 12월, Google Apps가 10개 계정까지는 무료로 제공하던 무료 가입을 닫아 버렸다. 이제 스타트업 들은 자신의 도메인 이메일을 만들기 위해서 Google Apps의 대안을 찾기 시작했다. 그러면 그 대안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https://twitter.com/tebica/status/286398672994979840 위 서비스 들(Outlook, Zoho)은 미국 서비스들이다. 그중에 아웃룩은 구글이 무료 plan을 없애자 공격적으로 마케팅을 펼치며 hotmail을 outlook으로 통합하는 등 사용자들을 끌어들이는 동시에 좋은…
-
OAuth 2.0 – Open API 인증을 위한 만능 도구상자
시작하며 모바일의 시대, 플랫폼의 시대가 도래하면서 IT기업에게 open API는 가장 중요한 자산으로 자리잡았다. 어떤 형식으로 API를구성하고 어떤 포맷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것인가에 대한 싸움도 치열했는데, SOAP & XML 과 REST & JSON이 경합을 벌인 끝에 REST & JSON의 승리로 끝났다. 이제 새로 생기는 모든 웹 서비스, 모바일 서비스들은 REST & JSON 기반으로 API를 제공하고 있으며 인증…
-
무엇을 좋아하게 되는 과정
Ruby가 좋으냐 Python이 좋으냐 HOT가 좋으냐 젝키가 좋으냐 윤아가 좋으냐 아이유가 좋으냐 이런 질문이 Stack Over Flow에 올라오면 바로 Close 당한다. 소모적이고 무의미한 논쟁이기 때문이다. 개인적인 프로젝트를 Python으로 하기로 맘먹고있다가 사정상 Ruby로 하기로 맘먹게 되었다. 그런데 그 과정에서 나는 Python을 좋아하는 사람에서 점점 Ruby를 좋아하는 사람이 되어가고있었다. 맨 처음 Python을 선택한 이유는 이랬다. 주위에 Ruby…